[기업기상도] 제철 만나 맑은 기업 VS 역풍 맞아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보다 낮고 물가는 더 높을 것이란 전망이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업들로서는 난관을 뚫을 전략이 시급한데요.<br /><br />한 주간 있었던 다양한 기업소식들 기업기상도로 되짚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간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앵커 말처럼 식어가는 경제 엔진에 걱정이 커지고 있죠.<br /><br />반면, 500대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이 2분기보다 대폭 늘며 경기 반등 기대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그러면 한 주간 맑고 흐린 기업을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첫번째 맑은 기업은 농심,오뚜기,삼양식품,빙그레 등 식품기업들입니다.<br /><br />원료비 때문에 힘들다더니 3분기 성적표는 금메달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역대 최대 라면 수출에 농심,삼양식품의 3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 두 배를 넘었고 오뚜기도 80% 넘게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K과자,아이스크림도 인기를 얻어 롯데웰푸드, 오리온도 두 자릿수대 영업이익 증가율을 보였고요.<br /><br />빙그레는 150% 넘게 불었죠.<br /><br />모두 국내보다 비싸게 판 해외영업 호조를 이유로 듭니다.<br /><br />다만, 지난 2년여 새 국내 가격이 정말 많이 올렸죠?<br /><br />원료비는 내려도 값은 올렸다는 지적에도 여전히 오른 재룟값을 언급하던데요.<br /><br />물가당국이 살펴볼 일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제주,티웨이,진에어,에어부산 등 저비용 항공사 4곳입니다.<br /><br />대형 항공사들과 달리, 실적 풍년입니다.<br /><br />되살아난 해외여행에 3분기 실적이 모두 역대 최고였습니다.<br /><br />제주,티웨이는 매출이 1년 전 2배를 넘었고 영업이익 다 흑자였죠.<br /><br />진에어는 4분기째 흑자입니다.<br /><br />여름휴가, 추석연휴가 낀 3분기 대목을 맞아 노선을 늘려 수요를 흡수한 결과입니다.<br /><br />반면, 대한항공·아시아나는 코로나 때 효자 화물 사업의 위축에 이익이 30~40%대로 줄고 합병도 난관에 부딪혀있으니, 음지가 양지되고 양지가 음지된 셈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두산에너빌리티로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직접 참여한 미국 소형모듈원전,SMR 첫 사업이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기존 원자로를 축소한 SMR은 경제성이 높고 안전하다는 평가에 차기 원전으로 꼽혀왔는데요.<br /><br />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추진하고 두산이 참여한 첫 프로젝트가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추진해보니 발전단가와 건설비용이 예상보다 50% 이상 높고 전력을 사가겠다는 곳은 적었던 탓입니다.<br /><br />물론, SMR이 없어지진 않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야심찬 첫 사업의 무산으로 향후 SMR 사업 전망에 부정적 영향은 있을 것 같죠.<br /><br />다음도 브레이크가 걸린 신성장동력, 전기차 배터리의 대표 주자 LG에너지솔루션,SK온입니다.<br /><br />전기차 확산 둔화에 증설 철회나 연기하고 해외 인력을 축소합니다.<br /><br />LG와 미국 포드가 튀르키예에 현지기업과 손잡고 연산 25Gwh 규모로 만들려던 배터리 합작법인 계획을 철회했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 확산세 둔화에 기존 설비로도 충분하다고 본 겁니다.<br /><br />포드는 SK온과 지으려던 미국 켄터키 2공장 가동도 연기합니다.<br /><br />SK온의 서산 공장 증설 공사 중단도 수요 부진과 관련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게 다가 아니죠.<br /><br />LG 미국 미시간 법인은 170명을 정리해고하고 SK는 미 공장 생산 축소와 함께 일부 직원의 휴직을 실시합니다.<br /><br />전기차 산업이 확실히 숨 고르기 중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KB,신한,하나,우리,NH농협 등 5대 은행입니다.<br /><br />설마했던 횡재세 법이 진짜 발의됐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이 발의했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야당 대표들도 참여했는데요.<br /><br />법률상 세금은 아니고 은행 순이자수익이 지난 5년 간 평균 120%를 넘으면 이중 최대 40%를 '상생금융 기여금'으로 거두는 게 골자입니다.<br /><br />이 돈을 금융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금융 부담 완화에 쓴다네요.<br /><br />주주 몫인 이익에 부담금을 물릴 수 있는지, 반대로 은행이 금융위기 등으로 손실을 내면 지원이 있는지 논란이 있겠죠.<br /><br />다만 지금도 당국 압박에 소위 상생금융을 하니 이를 제도화하는 차이 정도란 반론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반도체 설계 기업 파두입니다.<br /><br />사실상 매출이 사라져 뻥튀기 상장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<br /><br />실적이 아닌 기술특례, 즉 기술력을 인정받아 8월 코스닥에 입성했는데 첫 실적공시가 충격이었죠.<br /><br />6월 말 증권신고서엔 1분기 176억원 매출에 연 1,200억원대 매출을 예상했는데 3분기 매출이 3억2천만원, 2분기가 5천940만원이란 겁니다.<br /><br />경기 위축에 주문이 취소되서라는데 신고서를 낸 6월 말에 2분기 실적을 모르고 3분기 실적 전망이 없었냐는 비판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파두와 주관 NH투자증권은 일회성 요인이지 '뻥튀기' 아니라고 해명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심상찮다고 보고 상장과정 점검에 착수했고 집단소송도 예고됐습니다.<br /><br />138년 만에 전보가 없어집니다.<br /><br />이메일,메신저까지 대안이 너무 많아서죠.<br /><br />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오랫동안 쓰던 것들이 이렇게 없어지는데요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디지털 뱅킹, 또 키오스크 주문처럼 디지털 소외계층이 생기지 않도록 배려도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PD 김효섭<br />AD 김희정<br />송고 김종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